- Get link
- X
- Other Apps
<목회자와 성>심포지움 주제발제 세번째 시간.
".....목회자의 특수한 위치는 성적 탈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다음의 네가지 조건들, 즉 “권력”(power), “관계의 고립”(isolation), “고지식함 혹은 순진함”(naivete), 그리고 “슈퍼비전의 부재”(lack of supervision)의 '완벽한' 조합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세월이 지날수록 자신이 가진 권력의 행사를 감독해 줄 사람이 점점 적어진다는 것은 목회사역의 치명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는 성적 탈선의 배경이 되고 있다. 목회 신학자 Margaret Kornfeld에 따르면 목회자의 고립이 단순히 도움을 줄 있는 외부의 사람들로부터의 고립이 아니라, “자신의 진정한 자아와 상황으로부터의 단절”이라고 말한다. 쉴 수
".....목회자의 특수한 위치는 성적 탈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다음의 네가지 조건들, 즉 “권력”(power), “관계의 고립”(isolation), “고지식함 혹은 순진함”(naivete), 그리고 “슈퍼비전의 부재”(lack of supervision)의 '완벽한' 조합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세월이 지날수록 자신이 가진 권력의 행사를 감독해 줄 사람이 점점 적어진다는 것은 목회사역의 치명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는 성적 탈선의 배경이 되고 있다. 목회 신학자 Margaret Kornfeld에 따르면 목회자의 고립이 단순히 도움을 줄 있는 외부의 사람들로부터의 고립이 아니라, “자신의 진정한 자아와 상황으로부터의 단절”이라고 말한다. 쉴 수
없는 업무로 인하여 탈진되는 것은 곧 한 인간으로서 가지는 신체적, 심리적, 영적 필요들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 것을 말한다. 쉼없이 기도하고 설교하고 상담하면서 정작 자신의 양육은 등한시될 때 목회자의 탈진과 성적 탈선은 너무나도 쉽게 결합되기 때문이다. 목회자의 성적 탈선이 평신도에 대한 권력의 남용이라 한다면 탈진은 인식되지 않은 자기학대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목회자는 주는 사람들이다. 주는 일에 익숙해질수록 자신의 시간과 에너지를 남을 위해 전적으로 쓰는 일을 당연하게 여긴다. 동시에 그와 반대로 많은 목회자들은 다른 사람의 요청을 어떤 이유로든 거절하거나 자신이 당연한 쉼이나 특권을 누리는 것을 부담스러워하고 심지어 죄의식을 느끼기까지 한다. 이런 외적 환경의 압력은 자기 학대와 자기 결핍을 일으키고, 무의식적인 그에 대한 보상의식을 자극한다. 초창기에 그렇게 인격적이던 사역자가 담임목회자가 되고 더 많은 책임을 맡게 되면서 권위의식으로 신속하게 전환을 일으킨다. 상담학적 관점에서 보면 이런 목회자는 무의식 가운데 심지어 자신의 어린 시절에 불만스러웠던 욕구의 충족까지 덩달아 얻으려는 강렬한 유혹에 빠지게 된다. "
---- 하재성 교수 발표 중에서
어제 기윤실에서 주최한 <목회자와 성>심포지움의 발제 일부(위 글)를 페친의 담벼락에서 읽고 그에 대한 단상을 나누려고 합니다
하재성 교수(고신대 신대원 목회상담학)는 목회자는 성적 탈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네 가지 조건, "권력"(power), "관계의 고립"(isolation), "고지식함 혹은 순진함"(naivete), 그리고 "슈퍼비전의 부재"(lack of supervision)의 완벽한 조합을 갖추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비록 사역 8년차밖에 되지 않은 풋내기이지만 제 짧은 사역경험에 비추어 보아도 이 분석은 구구절절 옳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위험이 수차례 지적되어도 실제로 필드에서 성적 탈선에 취약한 이러한 사역환경과 풍토를 바꾸려는 노력은 찾아보기 힘듭니다.
이 이슈에 대한 반응을 보면 목회자든 평신도든 대부분 개인적 적용에 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목회자들은 '두렵구나. 누가 능히 서리요. 은혜로만 선다네'류의 은혜로운(?) 적용에 그치기 십상입니다(대부분 '은혜'로 마무리하고 시스템이나 환경을 건드리지 않는 목회자들의 적용방식은 거의 모든 이슈에서 나타납니다. 저는 이것이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 Get link
- X
- Other Apps
Comments